본문 바로가기
AI 와 함께 하는 라이프/💫AI 활용

초등학생과 AI, 어떻게 함께해야 할까요? 정서적 위험과 사용 팁 정리

by 내맘대로 GPT 연구소'짱' 2025. 5. 8.

귀여운아이가 ai 로봇과함께 앉아 있는 장면

 

요즘 아이들은 AI와 함께 자랍니다. 👧👦
그림을 그려달라고 하거나, 궁금한 것을 물어보며

 AI를 활용하는 일이 일상이 되어가고 있습니다. 


하지만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닙니다.
어린 사용자의 정서와 인지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'디지털 존재' 입니다.
따라서 아이가 AI를 사용할 때, 반드시 어른의 이해와 동반이 필요합니다.

 

다음은 초등학생이 AI를 사용할 때 꼭 알아야 할 다섯 가지 유의점입니다.

 

1. AI는 감정이 없습니다

AI는 친절하고 위로하는 말도 할 수 있지만, 실제 감정을 가진 존재는 아닙니다.
감정적 안전망이 없기 때문에, 아이는 AI의 말투나 응답을 진짜 감정으로 착각하고 의존할 수 있습니다.
특히 어린 사용자는 감정의 미묘한 뉘앙스를 잘 읽지 못하기 때문에,
AI가 진심으로 공감해준다고 느끼고 정서적으로 연결되었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.

2. AI는 거절을 하지 않습니다

아이들은 ‘싫어’, ‘그건 안 돼’ 같은 표현을 통해 사회적 경계와 질서를 배웁니다.
하지만 AI는 사용자의 요청을 최대한 수행하도록 설계된 도구입니다.
아이는 항상 대답해주는 AI를 ‘완벽한 친구’처럼 느낄 수 있으며, 
이는 현실의 친구, 부모, 교사와의 관계를 멀어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.
아이가 AI 안에서만 정서적으로 은둔하게 되면 사회적 관계 맺기에서 멀어질 수 있습니다.

3. AI는 정보는 많지만, 분별력은 없습니다

AI는 정보를 빠르게 제공하지만, 그것이 아이에게 적절한지는 판단하지 못합니다.
예를 들어, 아이가 ‘죽음이 뭐야?’라고 물었을 때,
AI는 인간처럼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너무 차갑거나 직설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.
이로 인해 정서적 충격이나 왜곡된 이해가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.

4.  AI가 알려준 내용은 항상 확인해야 합니다. 

AI 가 말한 정보는 재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

때때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거나 정확하지 않은 대답을 하기도 합니다. 

AI 가 주는 정보를 무조건 믿지 않도록 부모님이나 선생님의 지도가 필요하며

"혹시 다른 책에도 나오는지 한 번 더 찾아볼까?" 식의 검증 습관을 들이면 좋습니다. 

 

5.  AI는 아이의 자기표현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

AI는 사용자의 말에 잘 반응하고, 정리도 해주며, 항상 들어줍니다.
하지만 이러한 편리함은 아이가 스스로 말하고, 감정을 설명하고, 정리하는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.
결과적으로 현실 속 자기 언어는 부족해지고,
AI의 구조에만 감정적으로 의존하는 습관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.

 

📌 마무리: AI는 어린이에게 ‘친절한 괴물’이 될 수 있습니다

AI는 항상 말해주고, 들어주고, 이해하는 듯 보이지만
실제로는 아무 감정도 없고, 아무것도 기억하지 않습니다.

그래서 아이와 AI를 단둘이 두는 것은, 정서적 거울 없는 방에 혼자 있게 하는 것과 같습니다.

 

그래서 필요한 보호장치 

- 부모/선생님등 보호자 동반 사용을 권장합니다. 

  특히 처음에는 아이 혼자 AI를 쓰게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. 

  "이건 어떻게 질문할까?” “이런 대답은 어때?” 같이 대화하면 
    AI 사용 자체가 부모-자녀 간 교육 활동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- AI 사용 시간을 제한합니다. 

   아이가 AI 사용에 너무 빠지지 않도록 제한 시간을 정해두고,

    사용 후에는 감정 피드백을 작성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-정서적 인간 관계가 우선임을 알려주어야 합니다.

   AI 는 도구일 뿐이라는 인식을 계속 심어줘야 합니다.

   어떻게 쓸지는 아이의 손에 달려 있고, 그 손을 처음 이끌어주는 건 어른들의 책임입니다. 

 

AI 를 잘 쓰는 아이는 기술을 이해하고 다룰 줄 아는 아이입니다. 

그리고, 그것을 처음 가르쳐줄 수 있는 사람은 바로 보호자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