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와 함께 하는 라이프/📚 101 시리즈
[자녀(아이)와 소통하는 법 101]Ep.01 말귀를 여는 대화 설계
내맘대로 GPT 연구소'짱'
2025. 7. 4. 06:00
부제: 말귀를 못 알아듣는 게 아니라, 우리 말을 안 듣는 겁니다
말 안 듣는 아이에게 처음 꺼내는 대화법
아이에게 처음 말을 꺼낼 때, 이미 싸움은 시작됩니다.
왜냐고요?
우리는 보통 이 방식으로 말하죠:
- "몇 번을 말해야 알아들어?"
- "지금 당장 이거 치워."
- "그렇게 하면 혼난다?"
결과: 반항, 무시, 딴청, or 울음.
왜냐면 아이 입장에선 이게 대화가 아니라 위협이기 때문입니다.
💬 처음 말을 꺼낼 때 설계 규칙
1. ‘제안형’으로 시작하기
“지금 ○○ 하고 있는데, 잠깐 얘기해도 될까?”
→ 뭔가 말할 건데 ‘권위’가 아닌 ‘대화’로 설정
2. ‘행동’ 말고 ‘상황’을 설명하기
“지금 이게 바닥에 있어서 사람들이 넘어질 수도 있어.”
→ 아이는 명령보다 상황에 반응함
3. ‘지시’보다 ‘선택’ 주기
“이거 지금 치우고 쉬는 거랑, 나중에 같이 정리하는 거, 뭐가 좋을까?”
→ 선택은 통제감, 통제감은 협조로 연결됨
4. 한 문장 = 한 정보로 구성
“방 정리해, 그거 말고, 책도, 아니 그 전에 씻고”
→ ❌ 이건 전쟁의 언어임
👏 아이는 ‘내가 통제당하고 있다’고 느끼면 자동으로 저항합니다.
그게 본능입니다.
그래서 우리는 "통제하지 않는 설계자"처럼 말해야 합니다.
그러면 말을 듣기 시작합니다.😎